가격지표  > 가격이동평균(Moving Average)

가격이동평균(Moving Average)               

 개요

기간에 걸쳐 평균 가격을 보여주는 지표로써 주가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활용

1) Cross 활용
장기 이동평균선을 단기 이동평균선 혹은 가격이 상향 돌파(골든크로스)하면 매수 신호로,
하향돌파(데드크로스)하면 매도 신호로 판단한다.

2) 이동평균선 배열 판단
이동평균선이 위로부터 단기-중기-장기로 정배열되면 강세를,
위로부터 단기-중기-장기로 역배열되면 약세를 예상한다.

3) 지지선/저항선 활용
가격이 하락하며 이동평균선에 근접하게 되면 지지선으로,
가격이 상승하며 이동평균선에 근접하게 되면 저항선으로 활용한다.



 산식

1)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
N기간의 가격을 동일한 비중으로 평균을 계산한 것으로 해당기간 주가의 합을 기간 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2) 지수이동평균(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전일 지수이동평균 값과 당일 가격에 적용비율을 산입해 계산한다.
N기간의 지수이동평균을 구할 시 2/(N+1)의 비율을 당일 가격에, 1-2/(N+1)의 비율을 전일EMA에 각각 곱한 후 합산하여 산출한다.
(첫번째 EMA 값은 첫번째 가격)


3) 최소제곱법(선형회귀, LSTSQR, Least Square)
각 값들과 오차가 최소가 되는 방정식을 구하는 계산법으로 일반적인 선형회귀선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4) 가중이동평균(WMA, Weighted Moving Average)
과거 수치보다 최근 수치에 더 가중으 둬 계산하는 방법으로 계산 기간을 최대 가중치로 두고
최근 일에 최대 가중치를 승수로 곱한 후 전체기간의 합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5) WELLES이동평균(WELLES Moving Average)
계산기없이 이동평균을 빠르게 계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
당일 가격에 1/N, 이전 평균값에 1-1/N 값을 각각 곱한 후 합산하여 산출한다.
(첫번쨰 Welles값은 N기간의 SMA)


6) 삼각가중이동평균(TMA, Triangular Moving Average)
단순이동평균을 두번 적용한 이동평균법
이동평균 산출 기간에 따라 2번 단순이동평균하여 산출한다.


7)VMA
VIDYA지표(CMO지표의 변형)를 1/(n+1)로 평활화하여 산출한 평균.


8) ZELEMA(Zero Lag Exponential Moving Average)(
시차를 최소화하고자 개발된 지수이동평균법으로 현재 가격과 (N-1)/2를 내림한 날짜 전의 가격을 비교한 값을 N기간 EMA를 통해 산출한다.
(첫번째 ZELEMA값은 평균산출일 첫날의 가격)